반응형
제목은 뭔가 그럴 듯 하지만 기본적인 개념의 간단한 응용이다.
이차함수 y = ax2 + bx + c의 그래프와 직선 y = mx + n의 교점의 x좌표는...
ax2 + bx + c = mx + n, → ax2 + (b - m)x + c - n = 0 의 해와 같다. 이 역시 이차방정식이기 때문에 실근의 개수는 판별식의 부호에 따라 결정된다. 즉, 판별식 D로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의 개수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반응형
판별식 D를 이용한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관계
위에서 y = ax2 + bx +c의 그래프와 직선 y = mx + n의 교점의 좌표는 ax2 + bx + c = mx + n, → ax2 + (b - m)x + c - n = 0 의 해와 같다는 언급을 하였다. 따라서 ax2 + (b - m)x + c - n = 0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아래와 같이 관계를 정리할 수 있다.▼
그리 어려운 내용은 아니기 때문에 이해하는 것에 있어서 그리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6.gif)
※ 함께 읽기 판별식 D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차방정식의 실근의 부호 조건 및 그래프 근의 공식 및 유도하기 |
반응형
'수학이야기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리함수의 역함수 구하는 공식 및 증명하기 (0) | 2023.03.26 |
---|---|
부등식과 부등식의 기본 성질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3.19 |
조화수열과 조화수열의 일반항 (0) | 2023.03.02 |
미정계수법 - 계수비교법, 수치대입법 (0) | 2023.02.27 |
이차방정식의 실근의 부호 조건 및 그래프 (1) | 2023.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