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들이마시는 공기는 산소, 질소 등 다양한 기체가 섞인 혼합물이다. 그런데 이 기체들은 각각의 밀도가 다르다. 예를 들어, 산소의 밀도는 약 1.429g/L, 질소의 밀도는 1.250g/L로 산소가 질소보다 무겁다. 그렇다면 공기 중에서 산소는 아래쪽에, 질소는 위쪽에 분포되어 있어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공기의 위쪽과 아래쪽은 구성 비율이 거의 동일하다. 이러한 현상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돌턴의 의문화학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19세기 초, 영국의 화학자 존 돌턴은 이와 같은 의문을 품었다. “왜 무거운 산소는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가벼운 질소와 고르게 섞여 있을까?” 돌턴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체가 아주 작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입자들이 끊임없이 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