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정계수법이란?
미정계수법이란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결정되지 않는 계수의 값을 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럼 여기서 항등식의 성질이 무엇인지 잠시 살펴보도록 하자.
항등식의 성질
다음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일 때,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에 있어서 뭔가 당연한 것 같지만 굉장히 중요한 개념이니 무조건 기억해야 한다. 아무튼 이 내용을 바탕으로 미정계수법의 2가지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1. 계수비교법
항등식 양변에 있는 같은 차수의 항의 계수는 서로 같으므로 이 성질을 이용하여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여 결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식을 내림차순으로 전개한 다음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된다.
a(x - 2) + b(x - 4) = x라는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 되도록 실수 a, b의 값을 찾기 위해 계수비교법을 사용해 보자.
좌변을 전개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 + b)x -2a - 4b = x
양변이 계수를 비교하면,
a + b = 1, - 2a - 4b = 0이고 이것을 연립하여 정리하면 a = 2, b = -1이 된다.
2. 수치대입법
항등식은 미지수에 어떠한 값을 대입하여도 항상 성립하기 때문에 적당한 수치를 대입하여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적당한 수치라는 것은 곱의 인수를 0으로 하는 값을 말한다.
다시 a(x - 2) + b(x - 4) = x에서 적당한 수치는 2, 4가 될 것이다. 하나씩 대입하여 정리하자
x = 2를 대입하면 a(2 - 2) + b(2 - 4) = 2, b = - 1
x = 4를 대입하면 a(4 - 2) + b(4 - 4) = 4, a = 2
어느 방법으로 정리하여도 a = 2, b = -1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 맞는 방법을 사용하도록 하자.

※ 함께 읽기 항등원과 역원에 대하여 알아보자. 방정식의 부정과 불능 |
'수학이야기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0) | 2023.03.05 |
---|---|
조화수열과 조화수열의 일반항 (0) | 2023.03.02 |
이차방정식의 실근의 부호 조건 및 그래프 (1) | 2023.02.26 |
지수함수와 지수함수 그래프의 특징 (0) | 2023.02.11 |
절대값 기호가 있는 함수의 그래프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