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만나는 두 원의 방정식을 정의하면 이 둘이 만나는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아래와 같이 말할 수 있다.▼
▲이 식의 핵심은 k ≠ -1이라는 것이다. 왜 그런지는 아래에서 후술 하도록 하겠다.
교점을 지나는 원을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검은테두리 두 원이 만나는 교점을 지나는 빨간색깔의 원이 바로 위에서 구한 만나는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이다.
k ≠ -1 인 이유? |
왜 k ≠ -1 이어야 할까? 만약 k = -1 이라면 x², y² 항이 소거가 되어 원의 방정식이 만들어지지 않고 일차항으로만 이루어진 직선의 방정식이 만들어진다. 이 직선의 방정식은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 즉 공통현의 방정식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도록 하자.

반응형
'수학이야기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수함수와 지수함수 그래프의 특징 (0) | 2023.02.11 |
---|---|
절대값 기호가 있는 함수의 그래프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2.05 |
원 밖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0) | 2023.02.02 |
공통현의 방정식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1.31 |
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구하기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