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쇼핑 중 30% 할인 또는 전 상품 40% 세일과 같은 문구를 종종 접하게 된다. 이러한 할인 정보는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한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한 가지 궁금증이 생기기도 한다. 이 물건은 원래는 얼마였을까? 하는 문제이다. 이번 글에서는 할인된 물건의 원래 가격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반응형
할인된 물건의 원래 가격 구하기
아래와 같이 예시를 들어보자.
- 할인율: 30%
- 할인 후 가격: 10,000원
30% 할인이 적용되었다는 것은 원래 가격에서 30%를 차감하였다는 의미이며, 이는 곧 전체 가격의 70%만을 지불했다는 뜻이다. 즉, 현재의 가격 10,000원은 정가의 70%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할인 후 가격 = 원래 가격 × (1 - 할인율)
- 10,000 = 원래 가격 × (1 - 0.3)
- 10,000 = 원래 가격 × 0.7
자 그러면 위 수식으로 원래 가격을 계산해 보도록 하자.
원래 가격 = 10,000 ÷ 0.7
원래 가격 = 14,285.714...
따라서 이 물건의 정가는 약 14,285.71원, 정도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식화하기
아래처럼 공식화하여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단 여기서 중요한 것이 있다. 할인율은 반드시 소수 형태로 바꾸어 계산해야 한다.
예를 들면 30%는 0.3, 20%는 0.2, 50%는 0.5로 변환해야 한다.
이렇듯 누구나 쉽게 원래 가격을 계산할 수 있다. 우리 모두 이를 활용하여 현명한 소비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자.

반응형
'일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플리 증후군에 대하여 알아보자 (2) | 2025.06.09 |
---|---|
감전과 누전에 대하여 알아보자 (2) | 2025.06.04 |
기본권이란 무엇일까? 쉽게 알아보는 우리 권리 (0) | 2025.06.02 |
선거의 4대 원칙, 그리고 자유 선거란? (1) | 2025.05.30 |
적조 현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