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표준대기압의 정의 |
표준대기압이란 0 ℃, 위도 45° 해수면을 기준으로 지구 중력이 9.806655 m/s² 일 때 수은주 760 mmHg로 표시될 때의 압력을 말한다. 그리고 이 압력을 우리는 1 atm이라고 부르기로 약속하였다. 참고로 위에 언급한 중력가속도의 값은 국제 표준치로 사용되는 수치다.
반응형
표준대기압의 단위 변환 |
표준대기압은 여러 가지의 단위로 변환이 되어 공정에 대한 설계, 계산 등을 하는데 끊임없이 사용된다. 따라서 표준대기압 1 atm을 다른 단위로 어떻게 나타낼 수 있는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잘 살펴보면 알겠지만 몇 가지만 외워두면 나머지는 쉽게 유도할 수 있다. 유도하지 않더라도 그리 외우기 어려운 내용은 아니다. 기사 시험을 준비하거나 실무를 보는 사람들이라면 구구단이라 생각하고 반드시 외우도록 하자.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0.gif)
반응형
'과학 > 기초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이지 압력과 절대 압력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2.12.18 |
---|---|
[기초 과학]밀도와 비중 구분하기 (0) | 2021.05.03 |
과학적 접근 방법 (0) | 2019.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