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공학 공부를 하면 밀도와 비중이라는 단어는 많이 나온다. 처음 공학 공부를 하다보면 이 두가지의 개념이 헷깔리는 경우도 간혹 있다고 생각된다. 왜 헷깔리는지, 무슨 차이가 있는지 이번 글에서 알아보자.
밀도란? |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밀도는 ρ, 질량은 m, 부피는 V로 표현한다. 식으로 쓰면....
밀도=질량/부피이므로 단위는 kg/m³, 혹은 g/cm³로 쓴다. 상황에 따라 단위를 변환해가며 쓰인다. 밀도는 뭐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럼 이제 이 글의 핵심인 비중을 알아보자.
비중이란? |
비중은 물질의 밀도를 표준 물질의 밀도로 나눈 값을 말한다. 비중을 측정하는 데 쓰이는 기준이 되는 물질은 고체와 액체의 경우 1기압에서 4℃에서의 물, 기체의 경우에는 1기압에서 0℃에서의 공기가 이용된다.
4℃의 물의 밀도는 약 1g/cm³를 가진다. 따라서 액체의 비중은 밀도와 같은 크기의 값을 가진다. 뭐 어떤 수던지 1로 나누면 자기 자신이 나오기 때문이다. 대개 공학문제를 풀다보면 비중이랑 밀도는 같은 크기로 나오는 경우도 바로 이 경우다. 그렇다면 비중의 단위는 무엇일까? 없다. 밀도에서 밀도를 나누는 것이기 때문이다.
생각보다 엄청 간단한 차이니 잘 기억해두자.
반응형
'과학 > 기초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이지 압력과 절대 압력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2.12.18 |
---|---|
표준대기압의 정의와 표준대기압의 단위 변환 (0) | 2022.12.12 |
과학적 접근 방법 (0) | 2019.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