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계는 물리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단위들과 그 단위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규칙의 모임이다.
이글에서는 SI단위계를 구성하는 7가지의 기초량에 대해 아주 간략히 종류가 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도만
다뤄보겠다. 각각 개별단위의 자세한 것은 따로 글을 쓰겠다.
1.길이
m으로 표현하며, 물리량 기호는 ℓ, 차원기호는 L이다.
길이는 모두에게 익숙할 것이다.
1m=100cm=1000mm, 1000=1km
1ft = 0.3048m 1in=2.54cm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질량
kg으로 표현하며 물리량 기호는 m, 차원 기호는 M이다.
1kg=1000g
1t=10³kg=1Mg
1lb=0.4536kg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시간
s로 표현하며 물리량 기호는 t, 차원 기호는 θ이다.
모를리가 없지만 모를 수도 있는 사람을 위해 적자면 s는 '초'이다.
min(minute), h(hour), d(day), yr(year) 등이 사용된다.
60s = 1min
60min = 1hr
24hr = 1day
365day = 1yr 등으로 표현 가능하다.
4. 물질량
㏖로 표현하며 물리량 기호는 n, 차원 기호는 N이다.
물질 1㏖은 어느 물질이거나 그 물질의 분자, 원자, 또는 이온의 아보가드로수만큼의 양을 말한다.
참고로 아보가드로수는 6.023x10²³ 이다.
1g㏖=1㏖ 1㎏㏖=1k㏖=1000㏖
1ℓb㏖=453.6g㏖ 등으로 표현된다.
참고로 이 물질량이라는 용어 대신 몰수라는 말이 주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자.
탄소(C) 1㏖의 탄소원자 갯수는 6.023x10²³개이고 질량은 12g이 된다.
따라서 탄소 1㏖의 질량은 12g이다.
이것을 이용하여 특정 물질 일정 질량의 물질량을 구하거나, 특정 물질 일정 물질량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5. 온도
K로 표현하며 물리량 기호는 T, 차원 기호는 T이다.
SI온도 단위가 정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와 ℉
물질의 온도는 고체, 액체, 기체에 있는 그 물질 분자들이 가지는 평균 운동에너지의 척도가 된다.
K=℃+273.15
℉=1.8℃+32
°R=1.8K
°R=℉+459.67 로 표현이 가능하다.
6. 전류
A로 표현하며 물리량 기호는 I, 차원 기호는 A이다.
전류란 전하를 가진 입자의 흐름이다.
단위 시간에 도선이 단면을 통과하는 전하량이다
여기서 전하란 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원인이 되는 것을 말한다.(+,-전하라는 말 많이 들어봤을것이다.)
시간 t초 동안 도선의 단면을 통과하는 전하량을 Q라고 한다면
I = Q/t (1A=1C/S)로 표현할 수 있다.(전하량의 단위는 C이다)
참고로 전류는 (+) 극에서 (-) 극으로 흐른다.
7. 광도
cd로 표현하며 물리량 기호는 I(엘 아님), 차원 기호는 C이다.
참고로 칸델라라고 읽는다. 1 칸델라, 2칸델라..
광도란 빛의 진행방향에 수직 한 면을 통과하는 빛의 양이다.
광원은 광속을 여러 방향에 서로 다른 강도로 방사한다. 이 중 어떤 입체각 안에 포함된 광속을 광도라고 한다.
I=F/ω 로 표현한다.
I는 광도, F는 광속 ω는 입체각이다.
'과학 > 단위환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중이란 무엇일까? 비중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2.04.10 |
---|---|
[단위 환산] 온도 단위 변환 (0) | 2020.12.29 |
SI 접두어(표준 접두어)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19.12.08 |
유효 숫자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19.06.07 |
유도량과 차원과 단위 (0) | 2019.05.03 |